2025년 11월 9일~10일, 달, 목성, "쌍둥이" 별 정렬
일요일 11월 9일부터, 약 70% 정도 밝게 빛나는 달이 눈부신 빛의 사슬을 따라 미끄러지듯 지나가는 모습을 감상해 보세요. 이 사슬은 이번 달에서 가장 밝은 행성인 목성과 쌍둥이자리의 쌍둥이별인 폴룩스와 카스토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도시에서도 육안으로 이 일직선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무료 Sky Tonight 앱을 사용하여 가까운 하늘에서 천체의 위치를 추적해 보세요.
내용
- 달, 목성, 카스토르, 폴룩스의 일직선: 볼거리
- 목성, 카스토르, 폴룩스 근처에서 달을 볼 수 있는 시기와 장소
- 달-목성-카스토르-폴룩스 배열을 보고 촬영하는 방법
- 11월 밤하늘에서 또 무엇을 볼 수 있을까요?
- 달이 목성, 카스토르, 폴룩스를 만나다: 결론
달, 목성, 카스토르, 폴룩스의 일직선: 볼거리
11월 밤하늘에서 목성, 카스토르, 폴룩스는 동쪽 하늘의 쌍둥이자리를 가로질러 빛나는 호를 형성합니다. 11월 9일~10일 밤, 하현달이 이 호를 통과하며, 그리니치 표준시 오전 7시~8시경에는 네 별이 하늘에 거의 완벽하게 일직선으로 나타납니다.
가장 좋은 점은 무엇일까요? 이 모든 천체들은 도시의 불빛 아래에서도 맨눈으로 쉽게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 달 (-11등급)은 가장 밝은 천체로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 목성 (-2.4등급)은 달에서 남동쪽으로 몇 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안정적이고 밝은 광점입니다.
- 폴룩스 (1.1등급)는 목성에서 약 5°(팔을 뻗었을 때 손가락 세 개 너비 정도) 떨어져 있으며, 따뜻한 주황색으로 보이며 쌍둥이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입니다.
- 카스토르 (1.6등급)는 폴룩스보다 약간 북쪽에 위치하며, 약간 어둡고 은은한 푸른빛을 띱니다.
모든 위치에서 완벽한 정렬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07:00 GMT를 현지 시간으로 변환하여 밤에 해당되는 별이라면 운이 좋은 것입니다. 이 사건이 당신의 하늘에서 어떻게 보일지 확인하려면 무료 Sky Tonight 앱의 인터랙티브 천문도를 사용하세요. 이 지도는 당신의 위치에 맞춰 모든 천체의 위치를 보여줍니다.
이 정렬을 놓치더라도 걱정하지 마세요! 11월 8일부터 11일까지 밤하늘의 별이 빛나는 호 근처를 지나가는 달을 여전히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자연 위성은 더 멀리 떨어져 있어 목성, 폴룩스와 삼각형을 이룰 것입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하늘에서 달 옆의 밝은 점들.
이 별자리 배치를 놓치지 말아야 하는 이유
이것은 11월에 가장 눈길을 끄는 천체 중 하나입니다. 밝고, 거의 어디에서나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순식간에 "와우"하는 순간을 선사하기에 완벽합니다.

하늘에서 빛나는 점들을 바라보면서, 잠시 시간을 내어 이것들이 진짜 무엇인지 생각해 보세요. 가장 밝고 크게 빛나는 달은 지구의 자연 위성입니다. 인간이 지구 너머에서 방문한 유일한 우주 천체입니다. 하지만 달 옆에 있는 더 작은 "별들"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폴룩스는 약 태양의 9배 크기의 주황색 거성으로, 약 34광년 거리에 있습니다. 51광년 거리에 있는 카스토르는 별 하나가 아니라 중력으로 묶인 육중성계, 즉 세 쌍의 별이 함께 공전하는 것입니다!
근처에서 빛나는 목성은 지구 지름의 약 11배 크기**의 거대한 행성으로, 태양으로부터 약 **7억 7,800만 km 떨어져 있습니다.
다시 말해, 여러분이 보는 "점"들은 우주의 수조 킬로미터에 걸쳐 펼쳐진 거대한 세계와 항성계입니다. 하지만 몇 날 저녁 동안은 우리 하늘에서 아름답게 일렬로 늘어서 있습니다.
우주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큽니다. 그 규모를 이해하기 위해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에 대한 인포그래픽을 만들었습니다. 확인해 보세요!

목성, 카스토르, 폴룩스 근처에서 달을 볼 수 있는 시기와 장소
달은 11월 8일부터 11일까지 여러 날 밤 목성, 폴룩스, 카스토르가 이루는 선 근처를 지나가며, 11월 9일~10일 밤에 가장 잘 보입니다. 이때 달이 이 세 행성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거의 일직선으로 정렬됩니다.
북반구:
**11월 9일 저녁, 현지 시간 22:00~23:00경에 관측을 시작하세요. 쌍둥이자리에 있는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일몰 후 동쪽 하늘에서 떠오르고, 그 뒤를 이어 달과 목성이 떠오릅니다. 이들은 밤 동안 더 높이 올라가 새벽 2시경에 가장 높은 지점에 도달한 후 아침 황혼으로 사라집니다.
남반구:
11월 9일 늦은 밤부터 11월 10일 이른 아침까지를 목표로 하세요. 달, 목성, 쌍둥이자리가 자정 직후 북동쪽 지평선 위로 떠오릅니다. 가장 좋은 관측 시기는 태양이 하늘을 밝히기 전 새벽 전 시간입니다.
거의 완벽한 일직선을 놓치더라도, 주변 밤에 달이 세 별자리를 스쳐 지나가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달-목성-카스토르-폴룩스 배열을 보고 촬영하는 방법
육안으로 보기:
눈이 어둠에 적응할 때까지 몇 분간 기다린 후, 목성 옆에서 빛나는 밝은 달을 찾아보세요. 두 별 모두 광공해가 심한 곳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근처에 있는 두 개의 희미한 점은 카스토르와 폴룩스입니다.
쌍안경으로 보기:
달과 목성이 한 시야에 편안하게 들어옵니다. 팔꿈치를 표면에 대거나 삼각대를 사용하여 더 안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달의 분화구와 경계선이 보이고, 자세히 보면 목성의 네 갈릴레이 위성, 즉 행성 옆에 일렬로 늘어선 작은 빛점들이 보입니다. 지구에서 볼 때 위성이 목성 원반 앞을 지날 때 이 위성들을 가장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정확한 시간은 Sky Tonight 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앱에서 갈릴레이 위성의 그림자가 목성을 가로지르는 것처럼 보이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망원경으로 촬영:
저배율(50~100배)에서는 달의 분화구가 선명하게 드러나고, 목성은 두 개의 어두운 적도 띠가 있는 작은 원반처럼 보입니다. 대기가 안정적이라면 배율을 점차 높여 목성의 대기와 위성을 더 자세히 관찰하세요.
카메라로 촬영:
카메라를 삼각대에 장착하고 무한대에 초점을 맞춥니다. 1/500초에서 1/125초 사이의 짧은 노출과 ISO 100~400을 사용하여 달의 과다 노출을 방지하세요. 목성은 달 옆에 작고 밝은 점으로 나타납니다. 여러 장의 사진을 촬영하여 가장 선명한 사진을 선택하세요.
스마트폰으로 촬영:
삼각대나 단단한 표면에 휴대폰을 고정하세요. 수동 또는 프로 모드에서는 ISO 100–400, 노출 1/250–1/60초로 설정하세요. 가능하다면 야간 하늘 또는 천체 사진 모드를 활성화하여 더 많은 별을 포착하세요. 달이 화면 전체를 차지하고, 목성은 밝은 점으로 나타나며,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근처에서 희미하게 보일 것입니다.
11월 밤하늘에서 또 무엇을 볼 수 있을까요?
11월 밤하늘은 익숙한 별자리의 귀환을 맞이하며 북반구에서는 겨울, 남반구에서는 여름이 다가옴을 알립니다.

불타는 듯한 붉은색의 알데바란과 반짝이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으로 표시된 황소자리를 찾아보세요. 근처에는 오리온이 위풍당당하게 떠 있으며, 상징적인 세 개의 별과 베텔게우스의 붉은 빛이 어깨를 비추고 있습니다.
더욱이,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생생하게 빛나고, 작은개자리에 있는 프로키온과 그 사이로 뻗어 있는 희미하고 신비로운 외뿔소자리의 띠가 함께합니다.
이 별자리들은 앞으로 몇 달 동안 하늘을 가득 채울 친숙한 파노라마를 그려냅니다. 무료 Sky Tonight 앱을 사용하면 몇 번의 탭만으로 이 모든 천체와 별 모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달이 목성, 카스토르, 폴룩스를 만나다: 결론
- 가장 좋은 시간: 11월 10일 오전 7시~8시(GMT)
- 관찰 가능 지역: 북반구
북반구:
- 관찰 시기: 11월 9일, 일몰부터 밤까지
- 관찰 장소: 동쪽-남동쪽 하늘
남반구:
- 관찰 시기: 11월 10일, 일출 몇 시간 전부터 새벽까지
- 관찰 장소: 동쪽-북동쪽 하늘
11월 8일과 11일 사이에 달은 목성과 쌍둥이자리에 있는 쌍둥이별 카스토르와 폴룩스가 형성하는 아름다운 밝은 빛줄기 근처를 지날 것입니다. 가장 좋은 관측은 11월 9일~10일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때 달이 이 세 별을 가장 가까이 지나가며 어떤 위치에서는 거의 완벽한 일직선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Sky Tonight 앱을 사용하여 현재 위치의 정확한 방향과 시간을 확인하세요. 다가오는 천문 현상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2025년 11월 천문 현상 가이드를 확인해 보세요.
